본문 바로가기
상식

1'다스'의 어원은 무엇일까?

by 이세상 꿀팁 2021. 9. 6.

"연필"과 같은 것을 묶음으로 셀 때 '다스'라는 말을 쓴다. 영어로는 'dozen'이라고 하는데, 총 12개를 한 묶음으로 이를 때 쓴는 말이다. 이번에는 이 '다스'의 어원과 사용예를 알아보도록 한다.

'다스'? 'dozen'?, 타?

원래 '다스'는 일본말 '다스(ダース)'에서 온 말이다. 우리나라가 일제시대를 겪으면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이것은 영어 'dozen'의 축약형 'doz'를 일본어화 하면서 '다스'로 적용이 된 것이다. 이 dozen은 12개를 의미하는 프랑스어 'douzaine'에서 유래한 것이다. (두-젠 으로 발음된다. ) 국립국어원에서는 일본어 '다스'로 쓰이던 것을 한자어인 '타(打)'로 사용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즉, 연필 1다스, 연필 1타는 모두 같은 말이다. 

왜 하필 12일까?

더즌이 12개인 것은 잘 알겠는데, 서구권에서는 "수십 개가 있다."는 의미로 "tens" 를 쓰는 대신 "dozens'를 쓰고 있다. 이것은 십이진법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2진법이 사용된 이유는 길이를 재는 자(尺)가 없던 시절 컴파스 만으로 도형을 만들어야 했던 고대 시대의 유물이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보다 자세히 배울 수 있다.)

위 그림처럼, 원을 그린 뒤에 원 위에 각각 다시 동일한 지름의 원을 그리면 정확하게 12등분으로 나뉘게 된다. 인간은 최초로 태양을 이용한 해시계를 통해 시간을 측정했기에, 해가 이동하는 원을 바탕으로 12등분하여 시간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이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일하다. 

dozen과 관련된 숙어

Baker's dozen 이라는 표현이 있다. 제빵사의 다스라고 번역될 수 있는데, 이는 옛날 빵을 다서 단위로 팔았는데 가끔 양이 모자라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마다 제빵사는 항의와 불만을 받게 되었는데, 결국 빵을 하나정도 더 만들정도로 충분한 밀가루를 사용해서 만약 모자라더라도 덤으로 얹어줄수 있게 하였다. 이런 연유에서 요새도 도넛츠 프랜차이즈 가게에서는 12개들이 한 박스를 판매하고는 한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크라이나 전쟁에 사용된 HIMARS는 무엇일까?  (0) 2022.09.13

댓글